 |
눈뜨는 섬(상) |
글쓴이 박호재 
발행일 1993-06-15 판형 신국판 면수 522쪽
ISBN 89-7474-313-2 가격 8,000원
|
끝단에 있는 작은 섬 하의도를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. 일제하에 이완용의 비호 아래 하급증이란 문서를 하사받아 하의도를 통째로 집어삼킨 홍우록과 조상 대대로 가난을 내리받아 소작농에서 벗어날 수 없는 큰몰 사람들의 땅지키기가 펼쳐진다.
|
|
|
|
 |
홀로서기를 꿈꾸는 여자 |
글쓴이 앨리스 호프만 
발행일 1993-05-10 판형 신국판 면수 308쪽
ISBN 89-7474-602-6 가격 5,500원
|
루시 로젠은 30대 초반의 지적인 이혼녀. 작가는 루시 로젠과 그녀 주위의 이혼녀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삶과 사랑, 과거와 현재, 결혼과 홀로서기에 대한 골 깊은 진통을 섬세한 심리묘사와 아름다운 문체로 그려내고 있다. 그러면서 작가는 이 작품에서 '인간은 어떤 존재인가'를 진지하게 묻고 있다.
|
|
|
|
 |
금지된 문 |
글쓴이 김종성 
발행일 1993-05-10 판형 신국판 면수 368쪽
ISBN 89-7474-306-X 가격 6,500원
|
제도권 교육에서 밀려난 젊은이가 제도권교육에 편입되고자 노력하나 그 문은 항상 닫혀있음을 깨닫게 되는 과정을 그린 『금지된 문』, 월급쟁이가 낭만과 열정의 세계인 고대사로 시간여행을 하는 『가야를 찾아서』 등 10편을 묶은 작가의 제2창작집.
|
|
|
|
 |
오래전에 부서진 내마음 |
글쓴이 멀 쉐인 
발행일 1993-04-25 판형 신국판 면수 166쪽
ISBN 89-7474-702-2 가격 4,500원
|
인생의 뒤안길에 남기고 온 상처의 파편들에 대한 빛나는 자기 성찰을 보여주는 책. 마음의 상처로 만사가 귀찮을 때, 자기 자신이 한없이 미워질 때 이 책을 열어보라. 그러면 신새벽의 꽃향기처럼 마음이 환하게 밝아질 것이다.
|
|
|
|
 |
뽕짝병원 이야기 |
글쓴이 정인택 
발행일 1993-04-05 판형 신국판 면수 350쪽
ISBN 89-7474-305-1 가격 6,000원
|
성남노동자문학회를 주축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은이의 첫 창작집. 『뽕짝병원 이야기』 『고독한 행군』 『위험한 질주』 『만만한 놈』 등 5편의 작품이 실려 있다. 1992년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민중의 정치적 열망을 긴장감 있게 묘사한 풍자문학의 전형이다
|
|
|
|
 |
해커의 꿈 |
글쓴이 엘리스 호프만 
발행일 1993-03-30 판형 신국판 면수 324쪽
ISBN 89-7474-601-8 가격 6,000원
|
컴퓨터와 수학의 천재 라파엘, 인생을 즐기고 싶어하는 발랄한 여대생 자비네, 종교역사와 고전철학에 조예가 깊은 내성적 성격의 법과 대학생 마이크, 이 세 사람은 은행을 상대로 대대적인 반란을 시도 하고 있다. 과연 독일 해커는 완전범죄에 성공할 것인가? 이 시대의 괴도 루팡 해커들의 도둑일지!
|
|
|
|
 |
한국근대사 |
글쓴이 윤대원 
발행일 1993-02-25 판형 신국판 면수 472쪽
ISBN 89-7474-007-9 가격 15,000원
|
사료에 근거한 한 젊은 사학자의 근대사 개설서. 조선 후기 극심한 사회변동과 외침에서부터 항일의병운동에 이르는 한국근대사의 전모를 명쾌하게 해명한 역작이다
|
|
|
|
 |
조국(하) |
글쓴이 김응교 
발행일 1993-02-25 판형 신국판 면수 364쪽
ISBN 89-7474-303-5 가격 5,000원
|
|
|
|
|
 |
한국교육사 (근·현대편) |
글쓴이 한국교육연구소 
발행일 1993-02-15 판형 신국판 면수 536쪽
ISBN 89-7474-006-0 가격 15,000원
|
근대교육의 시점은 언제부터인가, 왜곡된 교육의식은 어떻게 구축되었는가 등 여러 문제인식에 토대하여 한국교육사를 정리한 이 책은 '한국교육의 정체성' 찾기에 도움을 줄 것이다.
|
|
|
|
 |
아시모프의 외계문명이야기 |
글쓴이 이이작 아시모프 
발행일 1993-02-15 판형 신국판 면수 320쪽
ISBN 89-7474-751-0 가격 6,000원
|
대 우주에서 유일한 존재인가? 인간만이 우주를 탐사할 수 있는 눈을 가진 것일까? 인간만이 신체기관의 연장으로써 인공장비를 만들 수 있는 단 하나뿐인 생명체일까? 인간만이 보고느낀 것들을 이해하고 해석하려고 노력하는 단 하나의 존재일까? 아이작 아시모프 박사는 이 질문들에 대한 결론을 이렇게 내리고...
|
|
|
|